DiD논문집

  • 소개
  • 규정
  • 연구윤리규정
  • 원고작성지침
  • 논문보기
  • 온라인논문투고

원고작성지침

2002년 1월 창간. 새로운 개념의 인간 중심의 디자인을 지향, 다학제적 협동연구 추구

원고 작성지침
1. 원고 제출 방법

1.1 논문은 HWP 파일을 사용하여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 후, 원고파일을 연구소메일(idesign@inje.ac.kr)로 제출한다.

1.2 논문 파일 제출 시에 논문투고 신청서도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2. 논문의 레이아웃 및 원고 작성

2.1 논문의 작성은 논문 작성 예시를 참조한다.

2.2 논문은 210mm × 297mm(A4) 크기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2.3 표지는 1단, 본문은 2단으로 작성하되, 단간격은 5.0mm이며 단 사이에 구분선을 넣는다.

2.4 논문의 페이지 여백은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3. 글꼴

3.1 논문의 모든 글꼴은 휴먼명조와 휴먼고딕 폰트로 작성한다.

3.2 대표글꼴이 휴먼명조인 경우 영문은 HCI Poppy로, 휴먼고딕인 경우 HCI Hollyholic 으로 지정된다.

 

4. 원고 페이지 순서

4.1 논문제목이 기입된 페이지, 논문의 저자 이름, 소속기관(,지원기관)

4.2 논문 목차, 한글요약, 중심어, 영문요약, Keywords

4.3 본문

4.4 참고문헌

4.5 저자주

 

5. 제목 페이지

5.1 제목은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하되 연구논문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간결하게 표기한다.

5.2 논문 저자의 이름은 성(姓)을 먼저 쓰고 다음에 이름을 쓴다.

5.3 논문 저자의 소속은 기관명으로 제시한다.

5.4 투고된 논문의 지원기관이 있는 경우 제목 페이지의 하단에 표시한다.

5.5 한글 제목, 영문 제목, 저자, 소속기관, 지원 기관 등의 글자모양과 문단모양은 아래의 [스타일 표]의 논문서식 스타일 유형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6. 논문 요약(abstract)

6.1 본문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글과 영문으로 작성한다.

6.2 요약의 글자모양과 문단모양을 [스타일 표]를 참고하여 작성한다.

6.3 초록의 분량은 한글초록 글자(공백 포함) 1,000자, 영문 초록은 낱말 300개를 넘지 않게 작성한다.

 

7. 주제어(keyword)

7.1 논문을 구성하는 주제어는 최소 3개, 최대 5개를 한글과 영문으로 작성하며, 각 논문요약(한글, 영문) 다음에 수록한다.

7.2 주제어의 서식은 [스타일 표]를 참고하여 작성한다.

 

8. 본문

8.1 일반적인 논문 형식인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등으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작성한다.

8.2 본문의 내용은 [스타일 표]의 바탕글 스타일을 사용하여 작성하며, 각 장의 제목과 각주 등도 [스타일 표]의 스타일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8.3 본문에 서지정보를 표기할 경우 다음의 규정을 따른다.

① 단독저술: ‘저자명(발표연도)‘

(예) 김정환(2008)에 의하면 ~, James(1998)는

② 공동저술: ‘저자1과 저자2(발표연도)’, ‘저자명 등(발표연도)’

(예) 김준서와 최흥국(2005)은~, Kieras et al.(2002)는~

③ 관련된 저술의 열거: ‘저자1(발표연도1, 발표연도2), 본문내용(저자1,발표연도1; 저자2,발표연도2)

(예) Rubin(1998, 2000a, 2000b)의 연구에 의하면~, ~라고 할 수 있다(정상훈, 2003; 이건표, 2005)

④ 페이지의 표기: ‘저자(발표연도, 페이지)’

(예) James(1998, 35)는~

 

9. 그림과 표

9.1 그림이나 표는 [그림 1], [표 1]과 같은 번호를 붙이고 설명문을 달도록 한다. 또한 표제(Caption) 및 설명의 위치는 그림은 그림의 아래쪽에, 표는 표의 위쪽에 표기한다.

9.2 사진이나 그림파일 저장방식은 한글에서 호환이 가능한 그림파일을 사용하되, 개체 속성의 그림삽입을 지정하여 그림이나 표는 별도의 파일로 작성하지 않고 본문과 함께 한 개의 파일로 작성한다.

 

10. 사용어 및 표기

10.1 사용어는 국문을 원칙으로 한다.

10.2 특별히 외국에 소개할 필요가 있는 원고는 외국어로 작성할 수 있다.

10.3 한글전용 또는 국한문 혼용이 가능하다. 국한문 혼용의 경우 오독할 우려가 있거나 특별히 중요한 용어에 한하여 한자로 표기한다.

 

11. 외래어 및 외국어 표기

11.1 외래어는 한글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널리 통용되지 않는 외래어는 1회에 한하여 괄호 안에 원어를 쓴다.

11.2 외래어 표기는 교육부 “외래어 표기법: 1986” 및 “국어표시 용례집: 1986”에 따른다.

11.3 외국인명, 지명, 문헌명은 1회에 한하여 괄호 안에 원어를 적는다.

11.4 로마자를 사용하는 외국어의 경우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문자로 적는다.

① 고유명사의 첫 자 (예: Munsell)

② 대문자를 쓰는 약어 (예: CIE, AIC)

 

12. 숫자

12.1 수량을 표시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12.2 단어의 일부분인 숫자는 한글 또는 한자로 적는다. (예: 삼각형)

 

13. 각주

13.1 각주는 본문의 해당부분 상단에 1), 2)등 번호를 표시하고 해당 본문 내용에 대한 보충설명을 기술한다.

13.2 참고문헌 서지정보는 각주에 표기하지 않고, 본문에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4. 참고문헌

14.1 참고문헌은 본문 뒤에 일괄 기재한다.

14.2 문헌의 항목순서는 다음과 같다. 저자명, 저자명. (발표년도). 타이틀. 간행물명, 권(호).

저자부. 년도부. 타이틀부. 간행물정보부. 로 나뉘며 각 부는 마침표로 구분한다.

각부의 내용이 복수일 경우 쉼표로 구분한다.

14.3 저자명은 가나다순,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14.4 한국어 출판물을 먼저 제시하고 다음에 외국 출판물을 제시한다. (국가명의 알파벳 순)

14.5 웹 인출자료는 마지막에 일괄 제시한다.

 

[예시]

정기간행물의 경우

저자명, 저자명. (발표년도). 제목. 간행물명, 권(호).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명. (발표년도). 제목. OO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출판된 서적의 경우

저자명. (출판년도). 제목. 출판사명.

 

발표자료의 경우

발표자명. (2004. 8). 제목. 학술대회명. 개최장소.

 

번역서의 경우

Author, N. (번역본발행일). 한국어제목. [original title]. (번역자 역). 번역본출판사명.

 

웹 참고자료의 경우

저자명. (2014.06.25.). 웹문서제목.

http://www.OOOOO 에서 인출

 

[스타일 표] 논문 서식 스타일 유형

스타일이름 글자모양 문단모양 비고
대표글자체 글자크기
(points)
글자속성 장평 자간 줄간격
(%)
왼쪽여백
(points)
정렬방식
바탕글 휴먼명조 10 97 -5 160 0 양쪽혼합
한글제목 휴먼명조 15 굵게 97 -5 150 0 가운데
영어제목 휴먼명조 12 97 -5 150 0 가운데
이름 휴먼명조 11 굵게 97 -5 165 0 가운데
소속 휴먼명조 10 97 -5 165 0 가운데
메일주소 휴먼명조 10 이탤릭 97 -5 165 0 가운데
지원기관 휴먼고딕 9 97 -5 130 0 가운데
목차제목 1 휴먼고딕 10 굵게 97 0 160 0 왼쪽정렬
목차소제목 1-1 휴먼명조 10 굵게 97 -5 160 10 왼쪽정렬
목차소제목 1-1-1 휴먼명조 10 굵게 97 -5 160 20 왼쪽정렬
한글요약 휴먼명조 9 97 -5 160 0 양쪽혼합
영문요약 휴먼명조 9 97 -5 160 0 양쪽혼합
주제어 휴먼명조 9 97 -5 160 0 왼쪽
제목1 휴먼고딕 10 굵게 97 0 160 12.5 왼쪽정렬
제목1-1 휴먼고딕 10 굵게 97 0 160 21.5 왼쪽정렬
제목1-1-1 휴먼고딕 10 굵게 97 -5 160 28 왼쪽정렬
표그림제목 휴먼고딕 8 95 -5 130 0 왼쪽정렬
표내용 휴먼고딕 8 95 -5 130 0 가운데
각주 휴먼고딕 8 95 -5 150 0 왼쪽정렬
쪽 번호 휴먼고딕 9 굵게 97 -5 180 0 양쪽혼합
참고문헌 휴먼명조 10 97 -5 160 0 왼쪽정렬 글머리표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