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선정 주제 : Digital Interaction Design 기반 사용자중심 디자인
-
디지털 인터랙션 디자인(digital interaction design)은 "기술지향의 정보통신 환경 (digital technology)에서 인간 지향의 적절한 상호작용(interaction)을 구현하는 굳디자인 창출"을 의미한다. 디지털 인터랙션 디자인을 연구소의 연구주제로 선정하고 DID논문집을 창간하던 2000년대 초와는 달리, Digital과 Interaction은 이제 디자인계의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고 우리의 모든 디자인 환경은 디지털과 인터랙션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되어 왔다. 이러한 디자인 환경의 변화를 바탕으로 우리 디자인연구소의 연구주제도 디지털 인터렉션 디자인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랙션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사용자중심 u-Healthcare Design, u-Public Urban Design, ICT Convergence Design(IT에 CT를 결합한 융합학문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2차 선정 주제 : 통합형 u헬스케어 디자인
-
본 연구는 사용자중심 인터랙션이라는 융합적 개념에서 시작하며, 치료-예방-관리의 통합, 환자-의료진-보호자의 통합, 시설-기기-정보의 통합 및 다학제간의 통합을 주개념으로 하여, 헬스케어디자인의 토대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통합에 의한 헬스케어디자인은 사용자중심, 유비쿼터스, 유니버설의 개념이 함축된 u헬스케어의 개념으로 도출된다.
연구소는 문화 접점으로 off-line상의 문화적 변화를 대학 내 소통시키고, 가상공간의 감성측면 연구 및 인접학문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의 결과를 대학의 교육에 반영하며, 산업에 직접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의 가상환경 조성과 관련 산업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1. HCI의 인지적, 심리적, 인문 사회학적 측면의 이론/실험 연구
2. 가상공간의 변화추이에 기반 한 디자인 신개념 연구
3. 융복합 연구를 통한 학문간 소통체계 확립
4. 산학연계를 통한 기술 상호교류 체제 운영
5. 관련 산업체에 연구 결과, 개발 기술 제공
6. 연구결과 발표, 세미나 개최, 저서 발간을 통한 지식의 사회환원
7. 학부생, 대학원생의 심화 교육 기반 제공
8. 실무 디자이너의 미래지향적 재교육 기반 제공
9. 기타 연구소 설립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