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자유주의적 축적과 한국 여성노동자의 불모화: 다중방법론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08)
서베이 리서치의 질문지 구성에 따른 응답 경향 변화에 관한 연구: 정치적 정향에 관한 질문지 영향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02)
2.85 그램의 민주주의: 투표용지 디자인의 민주적 원칙. (공저) 『의정연구』 제23권 3호 (2017), 147-182.
신자유주의적 축적 전략과 한국 여성노동자의 불모화: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한 탐색.『한국정치학회보』 제50집 1호 (2016), 155-183.
라틴아메리카의 금융위기와 형식적 민주주의의 확산. 『비교민주주의연구』 제1집 2호 (2005), 99-139.
비교지역연구에 있어서 확산효과의 측정: 다중회귀모형과 로짓/프로빗 모형의 구축을 중심으로. (공저) 『세계지역연구논집』제21권 (2003), 49-63.
비교지역연구에 있어서 최선의 연구전략. (공저)『국제지역연구』 제11권 4호 (2002), 57-74.
선거. (공저) 『민주시민교육 모듈: 중고생용⋅대학생용⋅선거정당관계자용』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경제적 위기. 『라틴아메리카의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지역연구에 있어서 확산연구의 방법론적 경향: 확산요인의 추적을 위한 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공저)『민주주의의 확산: 연구전략과 동아시아의 사례』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3)
비교지역연구의 딜레마: 갈튼의 문제와 해결방안 모색. (공저)『지역연구: 영역⋅대상⋅전략』(형설출판사, 2002)
비교지역연구에 있어서 방법론적 전략과 인과적 추론. (공저)『지역연구: 영역⋅대상⋅전략』(형설출판사, 2002)
다중방법론적 접근의 가능성: 경험과학과 비판적 실재론의 통합연구 제안. 비교민주주의학회-한국외대 글로벌정치연구소 공동학술회의(서울, 2015. 12)
신자유주의적 축적 전략과 한국 여성노동자의 불모화: 구조방정식모형(SEM)의 검증을 통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서울, 2015. 10)
|